네트워크

오래된 구형 노트북 활용해서 리눅스 웹 서버 만들어보자.

콘파냐 2014. 1. 24. 22:11
반응형

정말 오래된 삼성 sens p28 노트북, 윈도우xp조차 버벅거리는 노트북, 

집에서 뒹굴고 있어서 웹서버를 만들어 볼 생각으로 한번 리눅스를 깔아보았다.

웹서버를 만들고 당장 운영을 할 수 컨텐츠는 없겠지만, 우선 작동만 되면 오케이.

노트북은 전기도 덜먹으니까, 실험용으로 돌리긴 딱이지..


결론은 작동은 되지만, 통신사에서 80번포트를 막아놔서 로컬네트워크상에서만 가능하다. 사실 80번뿐 아니라 다 막혀있었다. 실제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포트를 안 막아놓은 인터넷 회사를 택하던지, 직접 고정ip를 구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kt의 경우 포트를 안막아 놨다는데 자세한 건 잘 모르겠다. 공유기 상에서 막혀있어서 DMZ설정 하는 방법이 있던데, 사실 귀찮다. 그리고 나중에 웹서버를 집에서 돌린다면, 깔끔하게 고정아이피를 구하는게 좋을 것 같다. 나중에 인터넷을 바꾸던, 고정 ip를 구입하든해야지 ㅠ



외부접속 가능 해결함, 슈퍼DMZ을 활용.

 

2014/01/25 - [네트워크] - DMZ, 슈퍼 DMZ란? 공유기 포워딩 제대로 해보기

 

 2014/02/02 - [네트워크] - 워드프레스, 익스프레스엔진을 직접 집 컴퓨터에 설치해보자.

 

로컬네트워크 상에서 연결이 된다면 인터넷 상에 자신의 컴퓨터를 노출 시킬 준비는 됐고, 웹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는 의미기 때문에, 상관없다.

페도라 웹서버 테스트

리눅스의 버전중 페도라11 설치 화면이다. CD나 usb설치가 가능하다. 

여기선 페도라 11버전을 사용하겠다. 리눅스를 인터넷에서 원하는 버전을 다운 받고(여기선 페도라) 설치시디나 설치USB로 만든다. 


만드는 법은 인터넷에 정보가 많으니 나중에 올리려한다.


노트북은 킨뒤 F2를 누른다.(천천히 연타하면) 아래와 바이오스 셋팅화면이 나오고 화살표키로 Boot메뉴로 가서 엔터


아래와 같은 화면에서 원하는 항목에서 F5를 누르면 순서가 바뀐다. removable devices는 USB를 말한다. 

설정했으면 Esc버튼을 누르고 Exit 메뉴에서 Exit Saving Changes로 저장을 하고 리부팅 한다.

설치 미디어를 넣고 부팅하면 아래와 같이 설치가 된다.

sens p28


설치는 순서에 따라서 윈도우 설치하듯이 하면 된다. 여기까진 윈도우 설치랑 별반 다를게 없다.

리눅스는 X윈도우라고 해서 윈도우OS처럼 친숙한 인터페이스가 있지만, 공부를 하는 입장에선 아래와같은 텍스트 모드가 더 좋을 듯 싶다.


예전에는 리눅스를 깔면 이것저것 설정 할 것이 많았다.

윈도우처럼 모든걸 알아서 해주진 않지만, 별 문제가 없다면 네트워크 설정에 대해서 잘 몰라도 자동으로 네트워크를 인식해 준다.

먼저 텍스트 모드에서 설정이다. 버전에 따라서 설정방법은 틀리다.


텍스트 모드로 들어가고싶다면

vi /etc/inittab


vi편집기는 a를 누르면 수정모드로 들어간다.


x윈도우 환경또한 터미널로 들어가 똑같이 해주면된다.


맨 아랫줄에 숫자를 3으로 바꾸어 주었으면 ESC를 누른뒤 : w q ! 엔터 순으로 누르면된다. 5번은 x윈도우 모드다.


페도라11


ifconfig eth0를 해보자 eth0는 보통 인터넷이 연결된 네트워크카드다.

페도라11


설정값중에 inet addr 부분에 자신의 컴퓨터의 ip주소가 나온다.

만약 인터넷에 직접 연결된 경우면 실제 저 주소로 이 컴퓨터에 접속 할 수있고, 공유기나 라우터가 물려있다면, 로컬ip주소기때문에 로컬네트워크 상에서만 인식되는 주소가 된다.

우선 로컬이든 글로벌이든 이 주소가 인터넷 웹사이트 또는 기타 서버 주소가 된다.


주소를 확인했으면 인터넷 연결을 설정하자.

인터넷이 연결이 되어있나 확인을 하자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페도라11

ONBOOT=yes 라고 되있으면 부팅할때마다 이 장치를 사용하겠다는 뜻이다. no가 디폴트이므로 yes로 바꿔주자.


이젠 웹서버를 설치해야하는데 인터넷에 연결되어있으므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가 있다.


yum -y install  httpd mysql-server mysql php php-mysql

위 명령어는 웹서버 관련 패키지들을 설치하는 것이다.


여기까지 설치했다면


서비스를 실행시켜보자.

service  httpd start


서비스가 실행되었다면, 외부에서 접속을 해보자. 위에 ifconfig eth0 에서 나온 자신의 ip를 외부컴퓨터 인터넷창에서 주소에 쳐본다.

접속을 하면 젤 처음 같은 화면이 뜬다.


하지만 이런 서비스는 재부팅하면 다시 수동으로 또 실행 시켜야한다.


부팅때마다 자동으로 서비스를 실행 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입력한다.

chkconfig httpd on


이렇게 입력하고 재부팅하면 다음부터는 이 서비스가 자동으로 서비스된다.


기타 명령어

rpm -qa httpd 

설치된 서비스의 버전을 확인


2014/01/22 - [관 심] - 공유기 기본적인 개념과 설정


2012/11/16 - [윈도우즈 서버] - (Active Directory)컴퓨터 이름/도메인변경


2012/11/16 - [네트워크] - 도메인 작업그룹 홈그룹


여기까지 기본적인 세팅은 다 설명한 것 같다. 

앞으로 진행되는 부분은 차차 포스팅 하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