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652

엑셀 MID 함수 이해와 예제

엑셀에서 제공하는 텍스트 자르기 함수는 LEFT, MID, RIGHT 함수로 세 가지가 있습니다.이 함수들은 이름에 따라 쓰임새가 약간 차이가 납니다.LEFT 함수는 원본 텍스트에서 잘라낼 범위가 텍스트의 첫 문자를 포함할 때 사용하고RIGHT함수는 원본 텍스트에서 잘라낼 범위가 텍스트의 끝 문자를 포함할 때 사용합니다.이 외의 경우는 MID 함수를 사용해야 하는데 사실 MID 함수는 LEFT나 RIGHT 함수를 대신해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MID 함수 하나로도 텍스트 자르기를 하는데 부족함이 없지만 LEFT나 RIGHT 함수의 존재 이유는 텍스트의 시작 부분이나 끝 부분을 잘라낼 때 좀 더 간편히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LEFT, RIGHT 함수의 인수의 개수는 2개)엑셀 MID 함수MI..

엑셀 2017.06.23

엑셀 LEFT함수 사용법과 활용 예제

텍스트나 숫자 데이터에서 일부분만을 얻고자 할 때가 있습니다.예를들어 전화번호에서 국번만 얻거나 날짜데이터에서 년도만 필요한 경우입니다.이 때 엑셀의 LEFT, MID, RIGHT 함수를 사용하면 텍스트의 일부분을 잘라낼 수 있습니다.세 함수의 목적은 같지만 함수 이름에 따라서 이름과 관련된 특성 있습니다. 그러나 셋 다 사용법은 비슷하므로 우선 LEFT함수가 어떻게 쓰이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엑셀 LEFT 함수LEFT(텍스트, 문자 개수) 설명 : 텍스트의 가장 왼쪽(시작)의 첫 번째 문자부터 시작하여 문자 개수만큼의 범위만 읽어서 반환합니다.이와 비슷하게 RIGHT함수는 텍스트의 가장 오른쪽(끝) 문자부터 시작하여 왼편으로 문자 개수만큼의 범위만큼 읽어서 반환합니다.다음은 "안녕하세요"에서 첫 번..

엑셀 2017.06.22

구글링 하는법 효율적인 검색을 위한

구글링이라는 단어는 마치 마술과 같은 느낌이 듭니다. 언제부턴가 구글링으로 다양한 정보들을 손쉽게 찾게되면서 "구글신님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라는 말도 자주 듣게 되었습니다.네이버나 다음도 같은 검색엔진인데 네이버잉, 다으밍, 네이버신, 다음신 같은 용어는 안생기는 것 보면 분명 구글만의 특별한 무언가가 있음이 분명합니다.그렇다면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포탈에서 검색하는 것과 구글에서 검색하는 것이 어떤차이가 있을까요?우선 방대한 데이터와 좀 더 신뢰성 있는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는 것 외에 손쉽게 정확한 자료를 찾는 검색 팁들이 존재합니다.지금부터 이런 팁들을 알아보려 합니다.구글링 하는법구글 검색을 이용하는 팁들은 많지만 몇가지 자주 사용하는 주요한 팁들을 간추려 보았습니다."" 쌍따옴표로 복합 단어 ..

엑셀 if함수 이해하기 조건에 따른 수식 선택

엑셀 if함수는 가장 기본적인 함수로 사용 빈도가 높은 함수입니다.사용법은 크게 어렵지 않으나 다른 함수들과 자주 같이 사용하거나 활용법이 다른 함수들에 비해서 많은 편이므로 반드시 알아두어야 합니다. 그리고 vlookup 함수나, index, match 함수와 같은 함수는 복잡하게 중첩된 if함수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데 이렇게 다른 함수들의 기능과도 연관되어 있으므로 전반적인 함수에 대한 공부를 하는데 기본이 되는 함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를 맛보기만 했더라도 if 문에 대해서 쉽게 이해하고 있을 테지만 그렇지 않은 분들을 위해서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엑셀 if함수우리가 일상적으로 방에 들어와서 불을 켜는데 사용하는 전등 스위치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스위치의 모양은 다를 수 있..

엑셀 2017.06.20

html/css 시맨틱 태그/semantic tag

우리가 알고있는 일반적인 태그들(div, p, a)은 각각 특정한 기능을 가진 태그인 반면 시맨틱 태그는 기능을 위한 태그가 아니다. 있으나 없으나 문서의 모습이나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시맨틱(semantic) 태그란 단어 의미대로 의미론적 태그다.따라서 시맨틱 태그를 이해하려면 지금까지 알아온 태그와 달리 추상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예를들어 대학 건물을 짓는다고 생각해보자. 건물만 지어놓고 건물에 이름을 만들지 않아도 기능적으로는 아무런 문제는 없다. 강의실을 사용할 수도 있고 컴퓨터 실습실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처음 오는 사람은 무엇이 어디에 있는지, 어떤 기능을 하는 건물인지 직접 들어가봐야 알 수 있다. 따라서 건물에 공대건물, 법대건물, 도서관 건물 등과 같이 이름을 써놓으면 처음 오는 ..

엑셀 암호설정 해제 방법

엑셀파일에 암호를 설정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입니다. 첫 째, 파일의 정보를 아무나 볼 수 없도록 하기 위함입니다.둘 째, 파일의 정보를 아무나 수정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함입니다.따라서 엑셀에서는 암호설정에 열기 암호화 쓰기 암호 이렇게 두 가지 암호가 필요합니다.그리고 사용자가 어떤 암호를 알고있느냐에 따라서 접근 권한이 달라집니다. 간단히 그림으로 정리해보았습니다. 엑셀 암호설정 엑셀파일에 암호를 설정하는 메뉴는 파일을 저장하는 대화상자에 있습니다. 따라서 엑셀파일을 처음 저장하거나 아니면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해야 암호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다른 이름으로 저장 대화상자에서 도구를 클릭 -> 일반옵션(G).... 를 선택합니다.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옵니다.열기 암호와 쓰기 암호를 입력해 ..

엑셀 2017.06.18

엑셀 주민번호 뒷자리 *로 표시해서 숨기기

엑셀 문서를 프린트할 때나 읽기전용으로 만들어 다른 곳에 공유할 때 일부 민감한 정보를 감출 필요가 있습니다.예를들어 주민번호의 경우 뒷자리는 굳이 표시할 필요가 없습니다.이렇게 텍스트에서 일부분을 숨기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 가장 알려진 방법으로는 LEFT 함수나 MID 함수를 이용하는 것입니다.LEFT 함수 사용LEFT 함수나 MID, RIGHT 함수는 텍스트의 일부분만을 잘라서 표시하는 함수입니다. 텍스트에서 잘라내고자 하는 부분이 텍스트의 첫 문자부터 시작된다면 LEFT 함수를 사용하고 텍스트의 끝문자를 포함하는 부분을 잘라내서 표시하려면 RIGHT 함수를, MID 함수는 잘라낼 텍스트의 시작과 끝을 직접 지정할 수 있습니다. MID 함수 하나로 LEFT, RIGHT 함수를 대신할 ..

엑셀 2017.06.17

html/css flex, flexbox 반응형 웹을 위한 css 레이아웃 속성 정리

기존의 웹페이지를 만들 때 사용하던 올드한 레이아웃 제작방법을 개선하고자 flexbox 가 생겨났다. flex는 flexible의 준말로 유동적인 레이아웃을 손쉽게 만들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진다.기본 컨셉은 아주 명확하기 때문에 기존의 레이아웃을 만드는데 사용하던 table 태그나 position 또는 float 속성을 사용하는 방법의 복잡함을 고수할 필요가 없어졌다.다만 생각보다 다양한 속성들이 있어서 정리할 필요는 있다. 이 속성을 모두 사용할 필요는 없으므로 대략적인 이해만 해 둔 후에 필요할 때마다 참고하여 레이아웃을 만들면 될 것이다.flexbox의 기본 컨셉container와 item들이 부모와 자식관계일 때 container에 display : flex; 속성을 줌으로서 다음과 같은 모습의 ..

엑셀 CHOOSE 함수 이해와 활용 예제

엑셀 choose 함수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한가지 비유를 들어보겠습니다엘레베이터에는 올라갈 층수에 대한 버튼이 있습니다. ①을 누르면 1층으로 올라가고 ⑪을 누르면 11층으로 올라가죠. 이건 누른 버튼의 숫자에 해당하는 층수로 엘레베이터가 올라가게끔 프로그래머가 미리 프로그래밍 해놨기 때문입니다.엘레베이터의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따져보면 "눌려진 버튼 검사 -> 버튼의 숫자에 맞는 층까지 운행" 이렇게 프로그램된 것이죠. 만약 프로그래머가 ①이 눌렸을 때 15층으로 가도록 프로그래밍 한다면 15층으로 가겠죠. 파란 글씨의 행동은 프로그래머가 정할 수 있습니다.이와 비슷한 맥락으로 엑셀 CHOOSE 함수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엑셀 CHOOSE 함수앞선 든 비유를 CHOOSE 함수로 표현해 보겠습니다.CHO..

엑셀 2017.06.15

CSS 우선순위 규칙 캐스케이딩(Cascading)

Cascading은 작은 계단모양의 폭포를 말합니다. 폭포의 전후로 물의 높낮이가 바뀌겠죠. 연속적인 물의 흐름에서 높낮이 차이를 우선순위에 비유한 것 인듯 싶습니다. CSS(Cascading style sheets)의 C는 Cascading의 약자입니다. CSS의 뜻을 살펴보면 우선순위가 있는 스타일 시트라는 뜻이군요. 구체적으로 하나의 태그에 여러가지 방법으로 동일한 속성의 스타일을 적용하는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서 적용될 스타일이 결정된다는 뜻입니다. 속성을 적용하다보면 하나의 태그에 본의 아니게 같은 속성이 겹쳐 적용될 때가 있을 겁니다. 단편적인 예제를 통해서 CSS를 공부할 때는 이런 경우가 그다지 발생하지 않으므로 Cascading에 대해서 깊게 생각하지 않아도 될지 몰라도 완성도 있는 HT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