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652

skt 기기변경 방법입니다.(집에서 온라인으로)

이 글은 SKT 기기변경(확정기변) 방법에 대해서 쓴 글이지만 다른 통신사라도 참고할 수 있습니다.USIM만 교체하면 usim 기변이지 전산상으로는 기기변경이 된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전산기변(확정기변)을 정확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확정기변을 하려면 대리점을 가야하지만 SKT (Tworld) 사이트에 가서 직접할 수 있습니다.지금부터 시작합니다. ① tworld 사이트에 가서 로그인을 한 후 my T 메뉴에서 기기변경을 선택해 줍니다. ② 본인인증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해서 인증을 해줍니다. 이 때 주의할 점은 아직은 유심을 갈아 끼우지 말아야 합니다. 휴대폰A가 원래 쓰던 폰, 휴대폰B를 변경할 공기계라고 하겠습니다. ②-① 만약 SMS 인증을 하는 것이라면 다음 화면에 인증번호를 넣어주시면 됩니다.④..

유용한사이트 2018.02.13

엑셀 창 두개 분리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엑셀 파일 두개를 열게되면 하나의 파일이 활성화 될 때 다른 파일은 숨겨질 수가 있다.우리가 원하는 것은 두 개의 엑셀파일이 화면상에 동시에 보이게 하는 것이다.이렇게 엑셀 창 두개를 분리하는 방법은 우선 레지스트리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레지스트리 설정을 건드리는 것은 위험할 수 있으며 오피스 버전마다 레지스트리 내용이 약간의 차이가 있으므로 그다지 추천하지 않는다. 그래도 혹시 원하는 분들이 있을지 모르므로 소개하고 넘어간다.(※ 주의: 레지스트리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잘 된다는 분들도 계시고 문제가 생긴 분들도 있습니다. 레지스트리를 건드리다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레지스트리 복구에 자신없으신 분은 레지스트리 변경을 하는 방법을 하지말고 아래로 쭉 내려서 레지스트리 변경없이 하..

엑셀 2018.02.12

엑셀 날짜 계산 여러가지 예제

엑셀에서 날짜 계산의 예는 보통 다음과 같다. 특정일로부터 경과된 일자를 알고 싶을 때와 반대로 특정일까지 남은 일자를 알고 싶을 때가 있다. 위 두가지 예에서 일(day)자대신, 년(year)수, 달(month)수를 계산할 수도 있다. 또는 몇년 몇개월 몇일이 차이나는지를 계산하기도 한다. 이런 엑셀 날짜 계산 방법은 DATEDIF 함수를 사용한다.이제부터 DATEDIF 함수의 사용법을 살펴보고 몇가지 예제를 제시하겠다.DATEDIF 함수의 사용법※ 주의 : 위와 같이 이 함수는 함수마법사로 선택할 수가 없기 때문에 수식입력창에 직접 입력해야 한다. =DATEDIF(날짜1, 날짜2, 서식문자)3개의 인수가 있으며 날짜1과 날짜2 사이의 기간을 구한다. 이 때 날짜1이 날짜2보다 앞선 날짜여야 한다. 안..

엑셀 2018.02.08

윈도우10 스티커메모를 사용해 보자.

스티커 메모는 일종의 포스트 잇이라고 생각하면 된다.메모관련 프로그램은 윈도우10 이전 버전에서는 메모장, 스티커메모 이렇게 두 가지 프로그램이 존재했다.그런데 윈도우10 스티커메모는 Sticky Notes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다들 아시겠지만 메모장은 심플한 문서 작성 프로그램이라 생각하면 되고, 스티커 메모(Sticky Notes)는 포스트잇 과 비슷하게 간단한 메모를 하는데 사용한다. 예전 한글 프로그램의 한컴메모도 이런 종류의 프로그램이다.윈도우 버전마다 스티커 메모의 모양은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기능은 동일하다.위 그림은 윈도우10의 스티커 메모로 오른쪽 위에 휴지통 표시가 있으며 이전 버전에는 그냥 x표시가 되어있다. 이건 스티커메모 창을 없애는 아이콘이다.윈도우10 스티커메모 실행과 단축키..

엑셀 반올림 함수를 이해해 보자.

엑셀에는 4가지 이상의 반올림 관련 함수가 있습니다. 그 중 ROUND 계열 함수가 가장 기본적이이며 그 밖에 함수는 약간의 기능차이가 있을 뿐 ROUND 계열 함수로 대체 가능합니다. ROUND 함수는 반올림, ROUNDDOWN 함수는 내림, ROUNDUP 함수는 올림 함수입니다. 그리고 MROUND 함수는 좀 특이하게 동작하는데 우선 기본 ROUND 함수의 동작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엑셀 반올림 함수 - 반올림 하는 위치를 정하자 ROUND 계열 함수는 2개의 인자를 받습니다. 인자란 ROUND(인자1, 인자2) 처럼 함수 이름 다음에 괄호 안에 써주는 값입니다. 이 때 ,(콤마)로 인자들을 구분합니다. 반올림을 하는 위치는 두 번째 인자(인자2)의 값으로 정합니다. 그러면 인자1은 반올림할 값인..

엑셀 2018.02.04

엑셀 필터 설정에 대한 이해하기

엑셀의 기능들은 하나하나 모두 주옥같지만 필터 기능은 무조건 알고 있어야 한다.엑셀 필터를 설정하면 필요한 데이터만 필터링 해서 표시할 수 있다.사용법은 매우 간단한데 단축키 Ctrl + Shift + L 을 기억해 두도록 한다.필터를 해제하는 단축키 역시 동일한 단축키로 이 단축키는 토글 단축키다.지금부터 더 자세히 하나하나 설명하도록 하겠다. 엑셀 필터 설정필터로 할 수 있는 것들다양한 정렬들 - (오름차순, 내림차순), 색 기준 정렬(셀에 채워진 색, 글꼴 색 등)필터링 - 특정 텍스트가 있는 데이터만 표시 또는 반대로 특정 텍스트가 있는 데이터를 제외해서 표시, 특정 숫자가 있는 데이터 표시 또는 수치의 범위 조건을 지정해서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 표시등을 할 수 있다.필터 사용 방법엑셀 메뉴(데..

엑셀 2018.01.31

파이썬 강좌 - switch/case 문이 없는 파이썬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은 닮아 있다. 파이썬 역시 C언어라는 뿌리로 부터 시작되었지만 switch/case 문이 없다. 왜? 없는지 궁금할 수 있겠으나 왜? 라는 질문에 대한 절대적인 해답은 없다고 본다. 굳이 답을 내자면 if~ elif문의 가독성이 워낙 좋고 switch/case문의 역할을 100%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또한 사전(dictionary)라는 자료형을 사용하여 switch/case 문을 비슷하게 흉내낼 수도 있고 이것은 다른 언어의 switch/case 문 보다 더 간결하다. 고로 단순함을 추구하는 철학을 가진 파이썬 입장에서는 굳이 switch/case문을 채용할 필요가 없었다고 생각든다. 태어나서 파이썬 외에 다른 언어를 공부해보지 않았다면 switch/case문을 ..

엑셀 그래프 만들기 쉽게 이해해 보자

엑셀로 만든 표의 데이터를 시각화해 주는 그래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엑셀 그래프 종류로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막대그래프, 꺽은선 그래프, 원형 그래프, 누적형 그래프 등이 있고 2개 이상의 그래프를 혼합해서 그리는 콤보(혼합)형 그래프도 있습니다. 그래프 마다 특성이 있지만 지면관계상 기본 그래프 위주로 몇가지 활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엑셀 그래프 만들기다음은 분기별 사원들의 실적에 대한 표입니다. 표의 형태는 행과 열에 제목(레이블)이 있는 형태로 만들도록 합니다. 위 표는 행제목은 사원이름, 열제목은 분기를 의미합니다.이제 표의 아무셀 하나만 선택하거나 표 전체 범위를 드래그해서 선택해 줍니다.그리고 삽입 메뉴를 선택해서 차트(그래프) 그룹을 보도록 합시다.차트 그룹에 다..

엑셀 2018.01.29

엑셀 카메라기능을 사용해 결재란 만들기

엑셀의 카메라기능은 그림복사 기능과 비슷한 기능이다. 하지만 중요한 차이점이 있는데 이 글에서 이 차이점을 다룬다.그리고 엑셀에서는 담당자의 사인이 들어가는 결재란을 만들 때 카메라기능 또는 그림 복사기능을 사용한다. 사실 셀에 직접 결재란을 만들어도 되지만 이렇게 하면 행너비와 열의 너비가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 역시 이에 대한 내용을 이 글에서 다룬다.우선 순수하게 엑셀 표와 결재란을 간단히 만들어 보겠다.엑셀 결재란다음과 같이 결재란을 만든다면 당장은 그럴 듯 해보이지만 문제점이 발생한다.문제점 : 엑셀 표의 크기를 변경할 일이 있어서 D, E, F 열의 너비를 변경하게 되면 결재란의 너비가 변경된다. 또는 표를 수정할 필요가 생겨 D, E, F 열 사이에 열을 추가하거나 2, 3, 4 행 사이에 ..

엑셀 2018.01.26

엑셀 원단위 절사 이해하기

얼마전 누군가 엑셀 원단위 절사를 어떻게 하느냐고 질문을 했었다. 그래서 몇가지 방법을 알려줬는데 이해를 잘 못하는 듯 싶었다. 내가 어렵게 설명했다기 보다는 상대방이 엑셀의 기초가 부족한 탓인듯 싶었다.엑셀을 좀 공부한 사람에게는 원단위 절사를 딱 한줄로 설명하면 된다. "TRUNC 함수나 ROUNDDOWN 함수를 쓰면 됩니다.~"그런데 엑셀에서 특정 기능만 쓰면 되는 경우라면 굳이 기초를 알 필요는 없을 듯 하니 좀 친절한 설명이 필요할 듯 하다.원단위 절사는 반올림과 달리 원단위를 잘라서 버리는 것이다.보통 대부분의 사람들이 원단위 절사를 할 때 ROUNDDOWN 함수를 사용하는데 개인적으로는 TRUNC 함수를 선호한다. 이 두 함수는 기능적으로는 똑같다고 볼 수 있지만 함수의 이름이 의미하는 바는..

엑셀 2018.01.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