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652

신념 초심

2020 원더키디의 해다.어린 시절 만화를 보면서 2020년은 참 까마득하게 먼 미래였다.그런데 지금 미래가 현재가 되어있다. 더 먼 미래를 바라봐야할 시점이다.2020년, 시작이 불안하다. 코로나(우한폐렴), 한국의 정부는 곧 종식된다고 여러번 발표를 해왔지만, 오늘도 역시 확진자가 늘어나고, 전 지구는 한국의 정부 발표와 반대로 돌아감을 직감한다.모든 개인의 개성과 생각처럼 이 바이러스를 대하는 방식도 가지각색이다.다 나름 일리가 있다고본다.난 이 사태가 가볍지 않음을 느끼는 부류다.그리고 나의 삶에 대해서 생각해본다.10여년 전 이 블로그를 개설했다. 처음엔 지적 호기심으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 어떤 지향점도 목표도 없었다.지적 호기심 그 자체가 목표였던 것 같았다. 그리고 10여년 간 많은 일들이..

일상 2020.03.18

2020년 1월26일 새벽 1시 40분

이렇게 글을 쓰는 이유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다.최근 며칠동안 골머리를 썩이는 문제가 있었다. CORS(Cross Origin Resource Sharing) 관련한 문제인데 분명 한달전에는 쉽게 넘어간 문제였다.문제의 발단모든 발단은 Centos8로 부터 시작되었다. 2달전 Centos8이 배포되고 podman이라는 컨테이너 기술을 지원한다는 것에 큰 흥미를 느꼈었다. docker라는 강력하고 숙성된 컨테이너 기술이 있고 현재 사용중이었지만, podman의 rootless지원과 데몬(systemd) 수준이 아닌 kernel레벨인가?에서의 구동 방식이었다. 도커의 경우 데몬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데몬이 죽으면 모든 컨테이너가 죽게된다. 또한 도커 방식이기 때문에 rootless가 아니다. 반면..

기타개발/일반 2020.01.26

파이썬 pyautogui를 이용한 업무자동화

업무자동화를 하면 1당 100의 효율로 쉽게 일을 처리할 수 있는 일이 많다. 예를들어 메일을 발송하는데 똑같은 내용을 수십명에게 보낼 경우 처럼 반복적인 일을 할 때 더욱 그렇다.파이썬의 pyautogui라는 패키지를 사용하면 이런 반복적인 작업을 쉽게할 수 있다. 물론 작업의 성격에 따라서 안되는 것도 있지만, 예전에 사용하던 매크로 프로그램이 할 수 있는 일들은 대부분 다 할 수 있다.참고로 pyautogui는 2014년도에 처음 release되었다.pyautogui의 기본적이 기능을 익히면 응용은 대단히 쉽다. 물론 파이썬을 조금이라도 안다면 말이다.이 패키지가 가지고 있는 함수를 먼저 알아보자.주요함수position : 마우스 커서의 위치좌표 (*모니터 스크린 왼쪽 위가 좌표가 (0, 0)으로 ..

파이썬 웹크롤링의 기초(1) urllib

웹에는 정말 수많은 데이터가 존재합니다 그리고 현 시점에서는 수 많은 사람들이 웹 상에서 데이터를 뽑아내고 있죠. 마치 금광에서 금을 캐는 것 같은데 다른 점이라면 웹 상의 데이터는 고갈되지 않는 다는 점입니다. 이렇게 시간이 갈 수록 점점 많아지는 데이터는 축척될 수록 빅데이터로서 더 가치있게 되겠죠.데이터의 중요성을 알기는 하지만 어떻게 뽑아내야할지 모른다면 낭패입니다.수작업으로 하는 것은 한계가 있고 업체를 이용하자니 장기적인 플랜이라면 비용이 생각 이상으로 들 수도 있구요.이 강의는 웹크롤링 강의로 웹 크롤링을 배우고자 하시는 분들을 위한 강의며 파이썬을 이용합니다. 파이썬의 기초에 대한 강의는 인터넷 상에 많이 있으니 어렵지 않게 배우실 수 있습니다. 본인의 블로그 역시 파이썬의 기초에 대한 강..

파이썬(python) pip 명령 옵션 활용

pip install을 통해 많은 패키지를 설치해 왔을 것이다. 하지만 pip을 좀 더 활용하면 편리한 개발환경을 만들 수 있다. 보통 프로젝트가 커지면 가상환경을 많이 사용한다. (가상환경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시다면 이 블로그의 387번 글을 참고하세요.)pip을 제대로 활용하면 가상환경 설정시 자신의 개발환경에 맞고 필요한 패키지를 한번에 설치할 수 있다. 버전역시 골라설치할 수 있다.이렇게 하는 이유는 다들 아시겠지만 같은 패키지라도 버전에 따른 의존관계가 변하거나 버그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프로젝트를 제대로 관리하는 첫번 째는 개발환경을 항상 동일게 유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이제부터 pip에 대한 정리를 할 것인데 유용한 정보가 되길 바란다.pip installpip i..

시간관리를 위한 구글 타임타이머

최근에 알게된 제품인데 시간관리를 해주는 타임타이머라는 제품이다.이 제품은 구글 스프린트 개발을 위한 핵심 아이템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짧은 시간내에 성과를 내기위해서 시간관리가 필수다. 구글타이머라고도 불리는 이 제품은 시간이 줄어드는 것을 시각적으로 알려준다. 사실 시간이 줄어드는 것이 시각적으로 보이기 때문에 자꾸 의식하지 않을까도 생각했는데, 물론 의식도 되지만 의식되는 것 이상으로 집중력을 가져온다는 것이 결론이다.그리고 원래 사람은 무언가에 집중을 할 때 감독관이 없으면 짧게라도 딴 짓을 하기 마련이다. 이런 의미에서 타임타이머는 감독관의 역할도 하는 것 같다. 포장은 깔끔하며 예상한 크기정도의 물건이다. 타임타이머는 사악한 가격으로도 유명한데 이 녀석은 옅은 하늘색으로 가장 싼 물건이다. 어..

티스토리 새로운 에디터 썸네일 누락현상

언제부턴가 쓰는 글이 모두 썸네일이 누락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경험상으로 비춰 썸네일 누락현상은 딱 한가지 원인이 아니다. 시간이 지나서 해결되는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다.몇가지 추정 원인 : 내가 겪었던 원인 중 하나는 대표 이미지의 사이즈가 비정상적일 때다. 가로나 세로의 길이가 한쪽이 너무 길거나 할 때 썸네일이 누락된 적이 있었다. 두 번째로 대표이미지를 가장 첫번째 올린 이미지로 하지 않는 경우.그리고 오늘 이야기할 티스토리 새로운 에디터를 사용했을 때 누락되는 현상이다.결론만 말하면 티스토리 새로운 에디터를 사용하면 네이버 검색에 썸네일이 누락되는 것 같다. 그동안 몇개의 글을 발행했는데 모두 새로운 에디터를 사용했고 썸네일이 누락되었다. 썸네일 누락새로운 에디터는 간편하게 글쓰기 좋은..

크롤링과 스크래핑 그리고 파싱의 차이

종종 글을 읽다보면 웹크롤링을 하거나 html 파싱을 한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또는 스크래핑을 한다고도 하는데 용어가 혼동되기도 한다. 원래의 뜻을 살펴보면 크롤(crawl)은 기어가다는 뜻이다. 스크랩(scrap)은 단편의 정보를 뜻하고 파싱(parse)은 분석한다는 뜻이 강하다. 위 세가지를 종합해보면 기어다니면서 단편의 정보를 모아서 분석한다? 응? 말되네? 최신 빅데이터와 데이터 수집을 위해서 크롤링이나 스크래핑을 많이 하는 추세다. 그리고 크롤링과 스크래핑을 구별하는 것은 크게 의미가 없다고 본다. 대략 크롤링과 스크래핑은 인터넷의 정보를 모으는 일을 생각하면 된다. 그러면 파싱이란? 예를들어 시간에 대한 표현을 보면 "2019년 12월 10일"이라면 표현이 있다. 이 표현을 '년' 앞에는 년..

엑셀 매크로 자동실행(엑셀 파일 열 때)

엑셀에서 파일을 열 때 또는 파일을 닫을 때 자동실행되는 매크로를 만들어 보자. 처음 시작한다면 : 개발도구 탭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 - 활성화 방법 : 엑셀 버전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다. 자세한 방법은 이 블로그의 586번 글에 설명해 놓았다. 이 블로그 주소/586 준비물 : 두 개의 아무 엑셀 파일을 만들자.(시작파일, 자동열기)라고 이름을 정하겠습니다. 주의할 점은 엑셀에서 매크로 사용을 위해서는 저장시 매크로 사용이 가능한 형태로 저장해야한다. 매크로 사용가능한 형태로 저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매크로 기록하기 방법 : 개발도구 탭 -> 매크로 기록 모든 매크로는 사용자가 직접 실행을 시켜야 실행되지만 다음과 같이 AUTO_OPEN으로 매크로 이름을 정하면 해당 매크로가 기록된 파일이 열릴..

엑셀 2019.12.07

논문검색 사이트와 sci 논문 검색(확인) 방법

서문 : 이 글은 논문검색을 할 수 있는 사이트와 검색된 논문에 대한 sci 논문검색 방법을 정리한 글입니다. 논문 검색 사이트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여기에서는 두가지 사이트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글 요약 : 외국논문을 검색사이트로는 구글스칼라가 있고 한글 논문검색 사이트는 riss라는 검색사이트가 있습니다. riss의 경우 kci등재여부를 볼 수 있기 때문에 따로 kci등재여부를 확인할 필요는 없습니다. 가끔 외국논문의 경우는 sci등재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좋은 논문을 찾기 위한 sci 논문확인 방법과 확인여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이어가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논문검색 방법으로 구글스칼라에 가면 바로 검색을 할 수 있습니다. https://scholar.google.co.kr/ ..

유용한사이트 2019.12.06
반응형